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함수형 코딩
- 출처는 코딩앙마
- 김영한쌤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52246
- 출처 : 코딩애플
- 에릭 노이먼
- 생코님Redux
-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 흥달쌤
- 출처 :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 출처 : 한입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 클린코드다시읽기
- 출처는 코딩애플
- 유틸리티타입은 공식문서 자주 보자
- 갈길이 멀구나
- 큰돌의 CS책
- 저자: 유인동
- 출처 : https://www.boostcourse.org/
- 쏙쏙들어오는함수형코딩
- 오종택개발자님
- 출처 : 코딩앙마
- 로버트 C마틴
- 쏙속 들어오는 함수형코딩
- 에릭노이먼
- 이웅모
-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코딩
- 리엑트를 다루는 기술
- 나는 flux좋아...
- 에릭 노먼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8)
틈틈히 메모중
//Button.js 여기서 쓴 ${(prop)=>...} 것 import styled, { css }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palette from '../../lib/styles/palette.js'; const StyledButton = styled.button` ... ${(props) => props.fullWidth && css` padding: 0.75rem 0 0.75rem 0; width: 100%; font-size: 1.125rem; `} ${(props) => props.cyan && css` background: ${palette.cyan[5]}; &:hover { background: ${palette.cyan[4]}; } `} `; const..
npm install styled-components@latest 최신버전을 도전해보자
이렇게 입력 했는데 오류남 벨로퍼트님 책엔 Route element안써있고 다 component였는데 눈치껏 바꾸긴했었음 //App.js function App() { return ( ); Route안에 component 쓰는건 사라져서 위처럼 쓰면 안 됨 그리고 path={['/@:username','/']}이 잘 안되었다는 블로그 글발견하고 아래와 같이 수정 function App() { return ( ); 오류없이 말끔해진 콘솔창...ㅎㅎ...ㅠㅠㅠ
JWT? ㄴ데이터가 JSON으로 이루어져 있는 토큰 ㄴ대표적인 두가지 인증방식(세션기반, 토큰기반) **세션기반 인증 시스템? ㄴ서버가 사용자의 로그인중인 것을 기억하고 있다는 것 ㄴ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세션 저장소에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세션 id발급해줌 ㄴ발급된 id는 주로 브라우저 쿠키에 저장됨 ㄴ사용자가 다른 요청을 보낼 때마다 서버는 세션 저장소에서 세션을 조회하고 로그인여부를 결정하여 작업을 처리, 응답함 (발급된 id의 발급번호 같은걸 세션저장소목록을 조회해서 있는지 유효한지 확인함) ㄴ세션저장소는 주로 메모리, 디스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 ㄴ단점) 서버 확장이 번거로워짐 (서버인스턴스가 여러개되면 모든 서버끼리 같은 세션을 공유해야하므로 ... 사용자가 많을수록서버의 양이 방..
git init //코딩하고나서 git add . git commit -m "수정함" //다시 코딩함 git stash // 임시 보관함으로 다시 코딩한 내용을 이동시키고 최근 커밋 상태로 되돌아 감 git stasg list // 내가 임시 보관함에 넣은 목록 보기 git stasg save "메모적고싶으면 save를적자" git stash pop // 가장최근에 stash한것부터 불러옴 ㄴstash 여러번 가능 ㄴ근데 주석하지...뭐 하러 이거 하는진 잘 모르겠음 ... ㄴ하지만 주석으로도 남기고싶지 않은 코드를 숨길때는 유용 git stash drop 0 //list에 0번째 stash 삭제 git stash clear //stash 다 삭제
프로젝트 커져도 사람많아도 깔끔하게 merge 하고 branch관리 가능함 git flow (vincent driessen) : 안정적인 운영이 필요한 경우 ㄴ브랜치를 5개 운영함 - main - develop (메인브랜치를 복제해서 개발시작) - feature/만들려는기능이름 (develop에 기능 추가할 것들 만들어보는 용) - hotfix (main복사해서 main브랜치 버그해결용) - release (develop를 main 에 합치기전 최종 테스트용- 테스트 통과하면 main에 merge하여 배포) Truck-based : 프로그램이 간소하거나, 업뎃별로 안해서 안정적인 프로그램이면 ㄴ 메인 브랜치만 잘 관리하자 주의 (작은단위로 merge하는 것이 안전함) ㄴ 잘하는 사람 많으면 이렇게 하는게..
원격저장소(github)에서 브랜치 만들거나 로컬저장소에서 브랜치 만들고 push 하면 브랜치가 생겨남 git branch 쓰고싶은브랜치이름 git switch 만든브랜치이름 git add . git commit -m "실험중1_브랜치" git switch main git add . git commit -m "수정사항" git push origin 올리고싶은브랜치명 //원격저장소에 브랜치등록됨 Pull requests https://jireh-muze.tistory.com/62 ㄴ 방법 ㄴ 작업자가 많아진경우 바로 merge하기보단 풀리퀘스트 활용함 ㄴ git hub에서 merge 요청을 날리기 위해 사용하는 것 ㄴ 공동작업자들이 보고 검토후 merge하는 것이 가능해짐 ㄴconflict나면 resolv..
git clone 원격저장소URL ㄴ원격저장소에 있는 소스 코드들 로컬로 다운로드 해죠 ** 협업 시 [settings - collaborators- add people] 에서 팀원 git ID를 팀원으로 등록해놔야 git push 가능함 ㄴ다른 사람이 로컬에서 push한 후에 다음사람은 바로 push 못 함 => 왜냐하면 원격저장소에 있는 내용이 업데이트 된 상태이기 때문에 ㄴ다른사람이 update 한 원격저장소에 내가 push 하고 싶으면 "git pull로 원격저장소 업뎃을 내 로컬에 반영해야 push 가능 " == 내 로컬에 원격저장소 업뎃내용(딴사람이 올린것들)이 있어야만 push 가능 git pull 원격저장소URL 브랜치명 //origin 변수로 대체가능 ㄴ원격저장소 최신 내용이 로컬저장소에..
repository ㄴ파일버전을 저장해두는 장소 ㄴ로컬에 있는 .git 폴더 원격 저장소 (= online repository) ㄴ온라인에 git repo를 만들어 저장해 둠 ㄴ로컬에서 오류 바이러스등으로 망해도 안심 & 협업가능 ㄴ원격저장소로 많이 쓰는 것이 github git push -u 원격저장소주소 main ㄴ(add, commit 진행된 상태에서 위 명령어 입력하면) 해당 원격저장소에 푸시 가능 git remote add 변수명 변수에할당할값 //git에서 쓰는 변수 문법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URL //많이 쓰고 원격저장소생성시 github에 기본으로 뜨는 편 git init // .git폴더가 로컬에 생김 git branch -M main // 기본 브랜치이름을 ..
git 은 형상관리가 목적이라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 파일 하나를 되돌리기위해서는 restore git restore 파일명 ㄴ입력한 특정 파일을 처음 상태로 돌림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파일명 ㄴ특정파일을 특정시점으로 돌림 (커밋아이디는 log에서 볼수 있음 )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ㄴ해당 파일을 (add)스테이징 취소함 특정 커밋만 취소하거나 되돌아가자 revert git revert 커밋아이디 git revert 커밋아이디 커밋아이디 //여러개도 가능 git revert HEAD //가장 최근 커밋취소 ㄴ해당 커밋아이디에서 일어났던 commit을 취소해 줌(vim 에디터는 :wq로 종료) ㄴ그래서 특정 커밋만 없어짐 (merge로 생성된 com..
1) 3-way ㄴmain브랜치랑 합치고자 하는 브랜치에 모두 신규 commit이 있는 경우 ㄴ일반적인 merge 방법 1. git switch main // 중심 기본 main 브랜치로 이동해서 2. git merge 합치고싶은 브랜치명 //< 입력하면 merge할수 있음 2) fast-forward ㄴmain브랜치에 신규 commit 이 없는 경우 합치고자 하는 브랜치를 메인브렌치로 바꿔버림 3) rebase ㄴrebase하면 main브랜치의 신규 commit 지점에서 다른 브랜치가 생겨난것처럼 바꾼다음 fast-forward로 merge함 ㄴ브랜치가 너무 많은 경우 log가 복잡해져서 간단한 브랜치의 경우 rebase로하면 log 깔끔해짐 ㄴ대신 충돌이 잘남 ㄴrebase merge 하는 방법 1...
브랜치는 원본 파일을 망가지지 않고, 다른 길로 가볼수 있는 방법 (commit 의 복사본만들어서 새로운 길 가봄) git branch 브랜치이름 ㄴ브랜치 생성 git switch 브랜치명 ㄴ브랜치명 으로 이동 git add . git commit -m "뫄뫄기능구현1방법" ㄴ브랜치안에서 스테이징 커밋 푸시 다가능 git switch main ㄴ메인브랜치로 이동(이렇게 하면 브랜치명 안에서 커밋했던 내역은 보이지 않음) branch와 main을 merge 하는 방법 git switch main //먼저 기본 브랜치로 들어가서 git merge 브랜치명 // 메인 브랜치에 '입력한 브랜치명'이 합쳐짐 다만, 메인 브랜치와 merge하고자 하는 브랜치에서 수정한 파일이 동일한경우 > 충돌이 생길수 있음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