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 유틸리티타입은 공식문서 자주 보자
- 고등애플
- 출처 :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 흥달쌤
- 오종택개발자님
- 갈길이 멀구나
- 출처는 코딩앙마
- 출처 : 코딩애플
-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코딩
- 에릭 노먼드
- 로버트 C마틴
- 출처는 코딩애플
- 큰돌의 CS책
- 출처 : 한입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
- 나는 flux좋아...
- 이웅모
- 쏙속 들어오는 함수형코딩
- 출처 : 코딩앙마
-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 에릭노이먼
- 함수형 코딩
- 리엑트를 다루는 기술
- 출처 : https://www.boostcourse.org/
- 에릭 노이먼
- 김영한쌤
- 클린코드다시읽기
- 생코님Redux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52246
- 쏙쏙들어오는함수형코딩
- Today
- Total
목록[오늘의 공부]/디자인패턴 (3)
흰둥씨의 개발장

Component들을 조합하면서 생긴 문제점 :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컴포넌트까지 Props를 일일히 내려줘야 함 - 즉, 데이터가 필요한 지점까지 props를 넘겨줘야 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를 쓰지 않는 중간 컴포넌트에도 props를 일일히 넣어야 했음 - Props가 많아질수록 Model 이 계속 여기저기 누덕누덕 들어가는 것처럼 됨 위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Flux패턴 이 나옴 Flux 패턴이란? - props로 Model이 분할되는 형태에서 Flux는 Store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경됨 - View에서 action을 통해 데이터를 호출하면 dispatcher가 store에 데이터를 불러와 두고 그 값을 View에서 표시함 - Store라는 독립적인 상태 ..
MVVM패턴이란 ? MVC패턴에서 Model, View, Controller로 구성된 내용 중 Controller가 View Model로 바뀌어 만들어진 패턴 View Model이란? View부분을 추상화 한 계층으로 템플릿과 바인딩문법등을 사용해서 "선언적인 방식"을 취하여 여러 처리에 대해 하나의 액션으로 처리함 데이터 바인딩(뷰모델을 변경하면 뷰의 데이터도 변경되도록)처리도 해줌 MVVM아키텍처를 사용하게된 이유? -> Controller부분이 너무 방대해지고, 반복되는 부분들이 많아짐 -> 반복되는 부분은 미리 선언해두는 방식으로 개발하면 편하지 않을까? -> 반복되는 부분을 선언적인 방식(ex. jsx와 같이 약속된 선언을 바탕으로 개발)으로 변경함 -> 앵귤러, React, Vue...등 생겨..

MVC패턴 : App의 구성요소를 모델(Model), 뷰(View),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분한 패턴 - 장점 : 재사용성, 확장에 용이함 - 단점 : 애플리케이션 규모가 크고 복잡해질수록 모델-뷰 관계가 복잡해지는 경향있음 모델의 역할 ? 데이터 자체 -서버에서 온 데이터 등... 어디엔가 저장해둔 정보 (=> 장바구니안에 상품, 몇개담았는지 수량) 뷰의 역할 ? - user interface요소 (=> 장바구니를 어떻게 보여주는지에 대한 내용) - HTML + CSS로 그려진 화면단 관련 요소들 -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음 컨트롤러의 역할 ? 모델과 뷰 사이 중간 다리 역할 - 뷰에서 변경된 내용이 있으면 컨트롤러에게 알려서 모델에서 저장, 갱신함 - 모델에서 변경된 내용이 있으면 ..